안녕하세요❤️
오늘은 환자확인수행도 조사 및 서류 챙기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릴께요❤️
필요하신 자료가 있으시면 댓글에 메일 남겨주시면 자료 공유해드릴께요❤️

환자안전지표
가장 먼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안전지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.
그 중에서도 어느 의료기관이나 가장 첫번째로 나오는 환자확인율 입니다.
환자확인율
- 정의 : 환자확인 시행시점의 환자 확인을 관찰한 건수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의 환자정보를
이용하여 환자확인을 시행한 건수의 비율
- 분자 : 두 가지 이상(환자 성함, 등록번호(또는 생년월일))의 환자정보를 이용하여 환자확인을 시행한 건수
- 분모 : 환자 확인 시행 시점의 환자확인 총 관찰 건수
- 조사방법 : 분기별 평일 1일 이상, 5개 장소에서 표본조사 시행
- 5개 장소 : 응급실, 병동, 외래, 중환자실, 검사실 각각 10건 이상 반드시 조사
지표정의서가 필요하신 분들은 댓글에 메일 남겨주세요❤️
정확한 환자확인의 중요성
베트남 국적의 환자는 사건 당일 한 층 아래 진료실에서 임신 6주 진단을 받고 영양제 주사를 함께 처방받아 분만실에 내원하였습니다. 이 후 해당 환자가 마취제를 맞아 잠든 탓에 영문도 모른 채 낙태 수술을 받았던 환자안전사고가 있었습니다.
- 환자확인 오류는 치료, 검사 등 모든 영역에서 발생이 가능
- 환자의 기저 질환 및 상태 변화에 따라 발생 (진정 상태, 각성 상태, 혼수 상태 등)
- 입원환경의 변화로 인해 발생 (원내 침상 또는 병실 이동 등)
안전한 진료는 정확한 환자확인으로부터 시작됩니다.
환자확인 인증기준
- 환자확인이 필요한 시점 및 수행자
: 의약품 투여 전, 혈액제제 투여 전, 검사 시행 전, 진료 및 처치, 시술 전에 행위를 수행하는 자는 환자확인을 수행
- 환자확인 방법
: 확인 과정의 환자 참여 : 개방형 질문 (최소 한가지 이상)
: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지표 사용 (환자이름, 생년월일, 등록번호 등)
: 환자의 병실호수나 위치를 알리는 지표는 환자확인 지표로 사용 불가
: 모든 상황과 장소에서 일관된 환자확인 방법 적용
: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의사표현이 어려운 경우에는 별도의 환자 확인 방법을 적용
환자확인수행도 조사방법
자료수집 방법
- 환자 확인 수행 시점에서 실제 시행 여부를 관찰하여 조사 (직접 관찰 방법)
-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표를 개발하고, 일관성 있게 조사 시행하도록 한다.
- 표본의 수는 최소 40건 이상
- 자료 수집은 최소 월별 또는 분기별로 시행
- 자료 수집기간을 선정하여 병원전자게시판에 공유
- 또한, 비전담 조사자가 환자확인을 시행하는 경우 조사자 교육이 필요
- 자료는 분기별로 분석 & 보고서 작성
- 결과는 반드시 공유
환자확인수행도 조사표 양식
분기별 보고서 작성 예시
해당 서류가 필요하신 분은 댓글에 메일 남겨주세요❤️
이상 환자확인 수행도 조사 및 방법이였습니다❤️
감사합니다❤️
'❤️환자안전 전담인력 안내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QPS) FMEA) 10-1. 주제 선정을 위한 위험도 평가, 위험등록부 관리 방법 (6) | 2024.08.23 |
---|---|
QPS) 9. 질 향상 및 환자안전 관련 위원회 운영 (0) | 2024.08.22 |
QPS) 7. 의료기관 인증평가 - 중간현장조사 서류 준비 목록 (1) | 2024.08.10 |
QPS) 6. 지표 관리 서류 챙기기 (12) | 2024.08.09 |
QPS) 5. 환자안전 주의경보 서류 챙기기 (7) | 2024.08.07 |